▲ 김경민 지점장

9월 FOMC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에서 동결했다. 자연실업률 수준에 다다른 미국의 고용시장, 연준 주요인사들의 금리인상 시사 발언, Forward Guidance에 대한 신뢰 유지 등을 이유로 연준이 9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는 시각이 많았으나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다.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FOMC 성명문에는 “금리인상 여건이 강화되고 있다”는 언급이 삽입되었다. 이는 연준이 연내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연준이 연내에 금리를 인상한다면 12월이 유력하다.

9월을 비추어 볼 때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연준의 의지가 실제 금리인상으로 연결될지는 불확실하다고 판단하며 12월 금리인상 여부는 12월에 판단해도 늦지 않다. 실제 연준은 올해 여러 차례에 걸쳐 금리인상을 시사하고서도 금리인상을 단행하지 않았다. 금리인상이 충분히 가능했던 9월에도 금리인상을 주저한 연준이 12월에는 ‘반드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이유다. 

기준금리 인상을 위해서는 FOMC 직전에 발표되는 경기/물가지표들이 금리인상을 정당화할 만큼 충분히 안정적이어야 하고, 해외의 불확실요인이 부각되지 않다는 조건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12월에 경제여건/해외환경 등 제반 여건이 금리인상에 우호적일지는 불확실하다.

향후 미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그것이 금융시장에 야기할 파급력은 지난 해 12월 금리인상 당시만큼은 강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리는 것은 힘들다는 것이 점차 확인되고 있고, 만일 부득이하게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결정을 한다면 그것은 ‘당분간’ 금리인상이 없을 수 있다는 신호로 읽히며 미 금리인상 불확실성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에도 올해와 마찬가지로 금리인상 템포가 빨라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경기 확장적 정책’의 일환으로 간주될 수 있는 인프라 투자확대와 보호무역 정책을 두 명의 유력 대선 후보들이 모두 지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화정책만이 나홀로 긴축행보를 강화한다는 것은 정책조합(Policy Mix) 측면에서 볼 때 가능성이 낮다.

연준 통화정책은 ‘선제적 정책’의 성격을 잃고 ‘후행적 정책’의 성격이 강해지고 있다. ‘선제적 통화정책’을 구사할 수 없을 정도로 경제의 상승추세(Cycle, Trend)가 형성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준 통화정책은 미 경제지표 발표 결과에 따라 금리인상에 대한 전망이 수시로 바뀌는 ‘단기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이 단기간 내에 바뀌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대신증권 무거동지점>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