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일자리 행정통계 결과 발표
일자리 절반 이상 50인 미만 업체…20년 이상 평생 일자리 '옛말'

 

50대 이상 근로자가 크게 늘어난 반면 20대와 30대 인구의 일자리는 소폭 늘거나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일자리 중 절반은 50인 미만 중소업체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년 이상 이어지는 일자리는 6%에 불과해 '평생 일자리'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사회보험, 과세자료 등 행정자료 13종을 바탕으로 기업체에서 임금이나 비임금근로 활동을 하는 일자리를 대상으로 작성한 '2015년 기준 일자리 행정통계' 결과를 7일 발표했다.

◇ 근속기간 3년 미만 일자리 56.3%…20년 이상은 6.4%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국내 일자리는 총 2천319만5천개로 2014년 2천270만9천개보다 48만6천개(2.1%) 증가했다.

전년에 이어 2015년에도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1천562만2천개로 67.4%를 차지했고 퇴직·이직에 따라 근로자가 바뀐 '대체 일자리'는 379만개(16.3%), 기업체가 생기거나 사업이 확장돼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78만3천개(16.3%)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기업체가 소멸되거나 사업이 축소돼 사라진 '소멸일자리'는 329만7천개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전체 일자리의 27.0%(625만8천개)를 차지해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그다음은 30대 23.3%(540만2천개)였고 50대(23.2%·539만2천개), 20대(13.0%·301만1천개), 60세 이상(12.9%·300만2천개) 순이었다.

증가 폭을 보면 50대 이상에서 컸다.

60세 이상 일자리가 1년 전보다 22만1천개(7.9%) 증가해 가장 많았고 50대 이상도 19만6천개(3.8%) 늘어나는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20∼30대는 증가 폭이 미미하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20대 일자리는 3만8천개(1.3%) 늘어났지만 30대에선 오히려 2만5천개(0.5%)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30대 일자리가 줄어든 것은 30대 인구가 전년보다 8만3천명 줄어든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남성 일자리는 59.1%로 여성(40.9%)보다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속일자리 점유율은 남성이 60.6%, 여성이 39.4%였고 신규 채용 일자리는 남성이 56.0%, 여성이 44.0%를 점유했다.

다만 여성의 일자리는 전년보다 24만8천개(2.7%) 증가해 남성의 일자리 증가율(1.8%)보다 컸다.

근속기간별로 보면 1∼3년 미만인 일자리가 28.2%로 가장 많고 1년 미만이 28.1%, 5∼10년 미만이 13.9%, 10∼20년 미만 12.0%, 3∼5년 미만 11.5% 순이었다. 20년 이상은 6.4%에 그쳤다.

전체 일자리 중 임금근로일자리는 82.6%였고 개인사업자와 같은 비임금근로 일자리는 17.4%였다.

취업박람회에서 이력서를 작성중인 중장년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임금근로 일자리는 전년보다 2.7%(49만6천개) 늘었고 비임금근로 일자리는 0.3%(1만개) 감소했다.

◇ 일자리 4개 중 1개는 5인 미만 업체서 제공

기업형태별로 보면 회사법인이 제공한 일자리가 47.9%(1천110만7천개)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개인기업체(32.3%·749만6천개)였다.

지난해 회사법인의 신규일자리는 160만7천개, 소멸 일자리는 130만2천개로 총 30만5천개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개인기업체에선 새로운 일자리가 181만4천개 생기고 175만7천개 일자리가 사라져 총 5만7천개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절반은 중소업체에서 제공됐다.

종사자 규모가 50인 미만인 기업체에서 전체의 절반 이상인 1천173만9천개(50.6%) 일자리를 제공했다.

이 가운데 1∼4인 일자리가 534만7천개였다. 전체로 따지면 23.1% 수준이었다.

300인 이상 대기업은 758만개(32.7%), 50∼300인 미만은 387만5천개(16.7%)의 일자리를 제공했다.

존속기간별로는 5년 미만인 기업체에서 1천104만1천개(47.6%) 일자리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20년 미만은 21.8%, 5∼10년은 18.0%, 20년 이상은 12.6% 순으로 일자리를 제공했다.

신규일자리(378만3천개) 중에서 72.6%에 해당하는 274만7천개 일자리가 존속기간 5년 미만인 기업체에서 생겨났고 5년 이상 기업체는 103만6천개(27.4%) 일자리를 창출했다.

지난해 소멸한 일자리의 절반 이상인 53.8%(177만3천개)는 존속기간이 5년 미만인 기업체에서 생겼다.

공공부문에서 제공하는 일자리는 224만4천개로 9.7%, 비공공부문은 2천95만개로 90.3%를 차지했다.

신규일자리의 98.5%인 372만6천개는 비공공부문에서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일자리가 500만6천개(21.6%)로 가장 많고 도매 및 소매업 298만1천개(12.9%), 건설업 194만8천개(8.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78만개(7.7%) 순이었다.

신규일자리는 제조업에서 17.7%인 66만8천개에서 창출돼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도매 및 소매업 61만8천개(16.3%), 건설업 52만5천개(13.9%), 숙박 및 음식점업 38만9천개(10.3%) 순으로 많았다.

소멸일자리 역시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64만4천개(19.5%)였고 도매 및 소매업 53만5천개(16.2%), 건설업은 43만9천개(13.3%), 숙박 및 음식점업은 34만8천개(10.6%) 순으로 비중이 컸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