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각급 학교의 안전을 우려하는 지적이 국정감사를 준비하는 국회의원들로부터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울산은 석유화학 등 폭발 사고의 위험이 큰 대규모 산단이 위치해 있고, 주변에 원전시설도 많다. 특히 최근의 포항 경주 지진 등에서 확인했듯이 자연재해에도 취약한 곳이다. 그런데도 가장 안전해야할 학교가 그렇지 못하다고 하니 시민들의 불안이 클 수밖에 없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8년 각 교육청 학교급별 스프링클러 배치현황’ 자료를 보니 울산의 전체 323개 학교 가운데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곳은 48곳, 설치율이 14.8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난에 대응하기 힘든 재해 약자들이 다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스프링클러 설치율이 각각 8.86%, 13.33%에 그쳤다. 요즘 어지간한 건물에는 대부분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가 학교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하니 이해하기 힘들다.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 시 초기진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치다. 스프링클러 설치율이 낮은 이유에 대해 울산교육청은 또 ‘규정 타령’이다. 지난 2004년 관련법 개정으로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 됐는데, 대부분의 학교가 그 이전에 지어져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추후 설치 계획도 없다고 하니 한심한 노릇이다.

지진과 태풍 등 자연 재해에 취약한 노후 학교건물이 많다는 지적도 있다. 교육위원회 자유한국당 김현아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초중고 학교건물 현황’에 따르면 울산 1,144개 학교건물 가운데 252개, 22.0%가 30년 이상 건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30-39년 사이의 건물이 148개였으며, 40-49년 건물이 98개, 50-59년 건물이 6개다. 급별로는 초등학교가 140개로 가장 많았으며, 고등학교 58개, 중학교 34개, 유치원 20개 순이다.

노후건물이 많다는 것은 지진과 같은 재난에 안전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울산은 지진을 남의 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지난 2016년 울산해역에서 5.0규모의 지진이 발생했고, 연이어 경주에서도 5.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5.4규모의 포항지진이 발생했다. 특히 경주 지진 때는 울산지역 88개 학교에서 벽이 갈라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학생들이 생활하는 학교는 어느 곳보다 안전해야 한다. 우리 아이들이 학교에서 화재와 지진 등 자연재해에 보다 더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울산시와 교육당국은 물론 시민들의 의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