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와 부산시는 14일 울산과학기술원 경동홀에서 원전해체 기술현황 및 원전해체 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제2차 원전해체산업 육성 울산·부산 공동 세미나'를 열었다. 우성만 기자  
 

울산과 부산이 공동 유치한 원전해체연구소를 중심으로 원전해체산업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원전해체산업 특구 지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에너지산업의 한 분야로 원전해체를 테마로 한 특구를 통해 종학적인 지원 연계체계를 확립하고 법률에 따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더 받아내자는 것이다.

울산발전연구원 이주영 연구위원은 14일 UNIST 경동홀에서 열린 원전해체산업육성 울산, 부산 2차 공동세미나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일원 원전해체산업 활성화 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원전해체산업은 긴 호흡을 가지는 중장기 사업이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시장이 형성되는 사업”이라며 “실적중심으로 시장참여가 이뤄져 신규 진입이 어렵고, 융복합적 기술이 필요하므로 해체기업간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이어 “원전해체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원전해체산업 특구 지정을 통해 원전해체연구소를 중심으로 산·학·연 기관이 연계된 실용화 기반을 조성하고 연구개발기반과 실증장치시설 집적화, 인력양성, 기업체와의 연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 연계체계를 확립할 것”을 제안했다.

특구 방식으로는 연구개발 특구나 경제자유구역, 지역특화 발전 특구 등이 될수 있으며 논의를 거쳐 유리한 것을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또 특구보다는 규모가 적은 원전해체산업 클러스터 조성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는 기업 육성 측면에 맞춰 원전해체 기술개발, 연구지원기관, 관련기업을 집적화시켜 원전해체 및 원자력 융합산업의 새로운 에너지산업분야로 울산지역 산업구조를 개편하자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문진호 사무관은 ‘원전해체연구소 소개 및 육성 계획’ 주제발표에서 “글로벌 원전해체시장 성장에 따라 원전해체를 원전산업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 TOP5 국가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라며 “우리나라 원전해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로 초기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 원전해체 전문기업 육성, 우리 기업의 단계적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제도 기반 구축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 이경철 팀장은 ‘고리1호기 해체 대비 원전해체기술 개발 현황과 향후 과제’ 발표에서 “현재 해체역무별 필요기술 분석을 통해 상용화 필요 기술 58개를 도출했으며, 그 중 17개가 미확보 기술”이라며 “2022년 원전해체 착수를 목표로 미확보 기술을 순차적으로 확보 중”이라고 말했다.

이 팀장은 이어 “앞으로 원전해체기술의 역량을 고도화해 2021년까지 기존 96개 자립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2022년부터 2030년까지 기존 자립화 기술 역량을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울산시 박순철 혁신산업국장은 “울산과 부산을 비롯한 동남권 지역은 이미 원전해체와 연관된 관련 산업, 기술력, 연구 기반 등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며 “원전해체연구소를 중심으로 기업의 원전해체 산업 진입을 위한 요소를 면밀히 파악해 실질적이고 경쟁력을 갖춘 원전해체산업 발전을 주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오는 6월 12일 ‘원전해체 기술 국제 워크숍’, 7월 2일부터 7월 5일까지 ‘국제원자력기구(IAEA) 주관 모듈형 원자로 국제회의’를 각각 개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