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구대암각화의 최초 발견자인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가 인터뷰에서 1990년대 대곡댐 건설과 관련한 문화재위원회 회의에 문화재위원으로 참여했던 당시를 설명하고 있다.  
 

반구대암각화의 최초 발견자인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가 “대곡댐 건설은 천전리 암각화(각석)도 살리고, 대곡리(반구대) 암각화도 국보로 만들어 물에서 건져내는 방안으로 결의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보인 반구대암각화가 자맥질을 반복하는 것은 대곡댐을 건설하되 사연댐 수위를 낮추자는 문화재위원회 의결 사항이 무관심 속에 실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문 교수는 지난 16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1990년대 대곡댐 건설과 관련한 문화재위원회 회의에 문화재위원으로 참여했던 당시를 회고했다.
그는 “애초에 대곡댐을 건설하게 된 것은 울산시가 용수가 부족해 사연댐의 수위를 높여야겠다고 요구했기 때문이었다"면서 "사연댐 수위를 10m 정도 더 높이겠다고 한 것인데 당시 문화재위원회는 수위를 높이면 당시 국보인 천전리각석이 물에 잠기게 되므로 반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러면 어떤 방법이 좋겠느냐고 논의하기 시작했고, 고심 끝에 상류에 댐을 하나 더 만들되 사연댐 수위를 낮춰 대곡리 반구대암각화도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자는 안을 내가 제안해서 의결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당시에 반구대암각화가 국보로 지정돼 있는 줄 알았는데 지방문화재여서 깜짝 놀랐다”며 “그 전에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 모두 국보로 지정해달라는 안을 제출하라고 해서 둘 다 국보로 지정돼 있는 줄 알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국보 지정이 안 돼 있으면 보존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당시 문화재위원회에서 반구대암각화의 국보 지정부터 하자고 해서 급히 지정안을 내서 가결했고, 그래서 국보가 됐다”며 “이런 과정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긴급하게 국보 지정을 한 것은 당연히 수위를 낮춰야 된다는 의미였다”고 덧붙였다. 반구대암각화는 1995년 국보 285호로 지정됐다.
그는 “수위를 낮추는 방법 등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문화재위원회에서 논의할 수 없으므로, 일단 원칙적인 사항만 합의한 것”이라며 “그런데 이후 이런 결정이 실행되지 않았다. (나를 제외하고는)관심이 없었고 (내가)문화재위원을 그만두고 관료들과 실무자들도 다 바뀌는 바람에 수위를 낮추는 것을 체크한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문 교수의 기억대로라면 현재 반구대암각화가 자맥질을 하고 있는 것은 관련 기관들이 직무유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 교수는 지금이라도 원래의 합의를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처음부터 주장했고 한결 같은 의견이다. 사연댐의 수위 조절을 하지 않는 한 다른 안은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댐 높이의 일부를 낮춰서 물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수위가 높아지면 자연적으로 월류(越流) 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만약 이 방안이 불가하다면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가면 수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방법을 제안했다.
인터뷰에 동석한 이달희 울산대 교수는 이와 관련해 “당시 문화재위원회 회의 기록을 찾으려 해봤지만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