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100통을 걸면 겨우 3명이 응답한다. 최근 총선을 앞두고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 응답률이 국제기준(미국여론조사협회·AAPOR)으로는 3%에 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기준은 ‘전화를 아예 안받은 접속 실패 수’까지 분모에 포함해 계산한다.

이 기준으로 응답률을 계산하면 중앙여론조사 심의위원회에 등록된 총선여론조사 평균 응답률은 9.1%에서 3.1%로 뚝 떨어진다. 국내 기준 10% 안팎으로 공표된 응답률이 실제로는 3분의 1이하로 떨어지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여야 정당의 가장 적극적인 지지층만 주로 응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여론조사의 정확성이 전 세계적으로 떨어졌지만 우리나라처럼 심각한 경우도 드물다. 여론조사 회사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현재의 조사비용이나 조사기법으로는 대표성 있는 샘플을 얻기가 어렵게 되자 아예 자포자기 상태에 이른 것이 아닌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누구나 뻔히 알 수 있는 설문 조항의 편향이나 샘플링의 편향 조차도 방치하면서 투매하듯 결과를 던져 버리고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9일부터 선거 관련 여론조사 결과 공표 및 보도가 금지됐다. 8일 조사분까지만 보도할 수 있다. 역대 총선에선 이 기간 동안 표심이 요동을 친 경우가 적잖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6년 제20대 4·13총선이다. 투표 일주일 전 4월 4∼6일 한국갤럽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에선 여당인 새누리당(39%)이 더불어민주당(21%)과 국민의당(14%)을 앞섰다.
당시 새누리당에서는 180석 획득이 가능하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지만 실제 선거에서 122석으로 123석을 얻은 민주당에 1당을 빼앗겼다. 선거를 코앞에 두고 새누리당의 ‘진박 공천’ 논란이 거세지면서 중도층의 표심이 민주당으로 대거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기간에 벌어진 표심의 이동은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다.

특히 중도·무당층의 표심이 여론조사에 잘 잡히지 않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투표율 저하 등이 선거에 미칠 영향을 감안하면 이번 총선결과도 예측하기 어려울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