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수력원자력(주)는 23일 울산 남구 종하체육관에서 울산시 남구, 중구, 동구, 북구 주민을 대상으로 고리원전 1호기 해체계획서(초안) 공청회를 열었다. 우성만 기자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상업원전 해체인 고리원전 1호기 해체에 10년 이상의 사업기간과 8,000억원이 넘는 해체비용이 투입된다. 사업이 완료되면, 지역 의견을 수렴해 원전 부지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23일 열린 고리원전 1호기 해체계획서 공청회에 따르면 밀폐관리 및 철거비, 방사성폐기물 처분비 등을 합쳐 해체 추정비용으로 8,129억원이 들 것으로 산정했다.
사업은 4단계로 구분돼 진행되는데 현재는 2단계인 영구정지 관리 및 해체준비에 해당한다.
해체가 승인되면 3단계인 해체착수 및 방사선관리구역 해체를 시작하는데 비방사성구역 해체와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 구축, 사용후핵연료 방출, 방사성계통·구조물 제염·철거, 방사능 측정결과 검증 및 평가,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 운영 등을 하게 된다.
이후 4단계로 부지복원에 추진하는데 부지복원 공사와 최종부지상태 조사 뒤 해체완료검사로 최종해체사업은 끝나게 된다.
기간은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해체관련 인허가와 사용후핵연료 반출 일정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탈핵단체는 이날 이 같은 한수원의 설명에 대해 지하수 오염 평가, 복원, 삼중수소 관리 등 핵심 해체기술 7개 미확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지연해체를 의견으로 제시했다. 안전을 위해 향후 2025년까지 차례대로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고리 2·3·4호기까지 모아서 함께 해체하자는 것이다.
원전 해체 방식에는 즉시해체와 지연해체가 있는데 고리1호기는 즉시해체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20년 이내의 기간 동안 원전 내부의 관련 설비를 제거하고 부지 복원까지 완료하는 방식으로 해체비용을 줄이고 기존 경험인력 활용, 빠른 부지 재활용이 장점으로 꼽힌다.
반면, 지연해체의 경우 50~100년의 시간 범위 내에서 방사선 물질이 줄어드는 반감기를 반영해 순차적으로 해체에 나서는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 저감과 방사성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즉시해체를 선호하고 있으며, 경제적 측면, 인력활용의 측면에서 원전해체산업육성정책를 반영해 즉시해체를 선택했다고 답했다.
또한 미확보 기술의 경우 올해까지 4개를 마무리하고 나머지 3개 기술 또한 중장기 개발과제로 기술개발을 진행 중으로 충분히 확보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수원은 초안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최종해체계획서 반영하겠다고 약속하고 기존과 다른 별도의 감시기구 설립에 대해서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청회에는 중구·남구·북구·동구 주민과 탈핵단체, 한수원과 지자체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했으며, 오는 25일 오전 11시 울주군 서생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울주군민을 대상으로 고리1호기 해체계획 공청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