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제조업 고용이 부진한 원인은 취약한 산업구조와 경기 요인이 복합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산업구조 고도화, 고용 유지, 직업능력 개발, 고용보험가입률 제고, 비대면·온라인 수출마케팅 강화 등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연구원(원장 송교욱) 경제동향분석센터는 26일 이와 같은 내용의 ‘부산 제조업 고용부진 원인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 제조업은 2016년부터 고용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2019년 하반기부터 취업자 감소가 확대됐고 코로나19로 상황이 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결과 2015년 대비 2019년 취업자 증감률을 보면 주력 제조업인 조선 ?40.9%, 철강 ?17.6%, 자동차 ?8.0% 감소했다. 전통 노동집약적 산업의 취업자 감소는 더 크게 나타나 의복 ?49.7%, 가죽·가방 및 신발 ?34.7%, 섬유 ?23.4% 감소했다. 반면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제조업(37.8%), 전기장비제조업(13.1%), 기계(2.6%) 등은 취업자가 증가했다.

부산 제조업 월평균 임금은 2019년 하반기 기준 약 282만 원으로 전국의 약 311만 원에 비해 약 29만 원 낮았다. 고용보험 가입비율도 2019년 12월 기준 부산이 62.0%로 전국(80.3%)에 비해 낮은 상황이다. 상용직 비중도 2019년 하반기 기준 76.4%로 전국(78.1%)에 비해 1.7%포인트 낮다.

보고서는 부산 제조업 고용부진 원인을 저부가가치라는 구조적 문제와 경기 요인으로 분석했다. 부산은 2014~2018년 제조업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이 1.0%로 전국의 11.5%에 비해 크게 낮은 상황에서 2016년부터 지역 제조업 실질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어 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또한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수출 감소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부산 제조업 고용 부진 개선을 위해서는 중·장기로 고부가가치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로 성장을 통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친환경 생산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차·조선업 등의 업종전환 및 다각화 지원 강화 △산업구조가 유사한 동남권 대기업과 지역 중소기업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사업서비스업(business service) 육성을 통한 부산 제조업 생산성 향상과 동남권 제조업 벨트 허브도시로서의 역할 수행 등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제조업 취업자 급감은 경기 회복 시 인력 공급의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부산시 인력양성사업 및 취·창업지원사업에 우선 배정 등 인센티브 강화를 통해 지역 대학이 방학을 이용해 산업특수적 기술 및 기업특수적 기술에 해당하는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경제동향분석센터 이상엽 위원은 “제조업 고용이 지역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지역 제조업 고용상황 개선은 중요하다”며 “부산 제조업 경기가 수출에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아세안·인도를 비롯한 동남아, 아프리카, 남미 등 국가를 대상으로 비대면·온라인 수출마케팅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 / 김성대 기자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