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부산시민들은 직장 선택의 기준으로 연봉이나 복지 등 노동조건보다는 고용안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들은 미래 노동사회 변화에 대해 디지털기술 적용으로 일자리와 근로시간이 감소해 소득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부산연구원(원장 송교욱)은 23일 이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코로나19, 부산지역 노동의 미래와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연구원이 코로나19 이후 노동 변화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시민 1,000명(취업 680명, 미취업 32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코로나19 이전 직업(직장) 선택에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연봉·복지’(38.1%), ‘근무환경’(23.4%), ‘고용안정성’(18.7%) 등 순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고용안정성’(54.3%), ‘연봉·복지’(14.4%), ‘근무환경’(13.9%) 순으로 그 기준이 바뀌었다. 코로나19로 높아진 고용불안의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이후 일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무인상점·키오스크 등 무인화 기술 도입이 부쩍 늘었다’(85.0%), ‘플랫폼 노동자가 증가한 것 같다’(80.3%), ‘정규직 일자리가 줄었다’(75.6%) 등을 주요 변화로 꼽았다.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비대면 근무방식은 늘어날 것’(75.3%)으로 전망했다.

미래 노동사회 변화에 대해서는 ‘광범위한 디지털기술 적용으로 일자리 감소’(86.1%), ‘근로시간 감소로 소득이 줄어들 것’(79.8%), ‘정규직 일자리는 줄고 비정규직 일자리는 늘어날 것’(79.8%), ‘줄어든 소득 보전을 위해 투잡·쓰리잡을 해야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78.3%)으로 전망했다.

노동 변화가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기술 변화가 현재 내 일자리를 기계로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45.8%), ‘현재 내가 가진 기술이나 지식이 조만간 쓸모없게 될 것’(36.2%)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10년 내 현재 내가 하는 일이 사라질 것’이라는 응답도 36.4%로 나타났다.

다만 ‘새로운 일자리로 미래 세대를 위한 좋은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54.6%나 됐다. 현재 일자리를 가진 세대들은 향후 노동사회 변화의 영향을 피하기 어렵지만 미래 세대는 보다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 작성자 손헌일 연구위원은 노동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부산시 노동정책으로 비정규직을 고려한 직업능력 개발 교육 생태계 조성, 노동권리 교육, 일하는 시민을 위한 조례 제정, 특수고용직 등 대상 유급병가지원제도 도입, 부산시 플랫폼·이동노동자 지원센터를 통한 지원 강화 등을 제시했다.

손 연구위원은 “취약성이 높은 노동자들에 대한 보호 조치와 코로나19로 인한 노동시장의 차별적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 / 김성대 기자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