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박물관이 한중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7월 베이징에서 개막한 고대 청동기 유물 전시회의 한국사 연표에서 고구려와 발해를 제외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시된 연표에는 고조선부터 신라, 백제, 가야, 통일신라, 고려, 조선 순으로 연대를 표시했지만, 고구려·발해는 빠졌다. 그 아래엔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제공’이라고 표기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13일 "우리가 제공한 자료를 중국 측이 임의로 편집한 것"이라며 항의해 한국사 연표는 철거됐다.
 중국 측이 우리가 준 자료를 제멋대로 왜곡해놓고 버젓이 ‘한국 제공’이라며 전시한 것은 국가간 신뢰를 저버린 망동이다. 중국이 오래전부터 고구려와 발해를 ‘소수민족 지방정권’으로 자국 역사에 편입하기 위해 추진해온 ‘동북공정(東北工程)’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이런 왜곡된 역사 인식은 그 최고지도자가 미국 대통령을 만나 "한국은 역사상 중국의 일부였다"라고 했다는 망언에서도 진작 드러난 바 있다.
 중국은 2002년부터 고구려·발해 등 동북 지방의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규정하는 역사 왜곡을 진행해 한중간 역사 갈등을 빚어 왔다. 이번 한국사 연표 조작은 고구려사와 발해사를 그들 뜻대로 중국사에 이미 편입한 결과인 셈이다. 이런 역사 왜곡은 김치와 한복마저 자기네 것이라고 우기는 이른바 ‘문화공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의 오만한 역사·문화 패권주의는 갈수록 높아 가는 대외적 팽창주의와 대내적 애국주의 열기와 무관하지 않다. ‘중국몽’에 취한 중국은 앞으로도 왜곡을 서슴지 않을 것이다. 지금의 한·중 관계는 과거 30년과는 다른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는 곧 과거 30년간의 상호 인식과 관행, 낡은 패러다임의 틀에 갇혀서는 미래의 바람직한 한·중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새로운 정세와 변화된 상황에 걸맞은 관계 설정을 위해서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을 기본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서로 조화를 이루고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되 어느 한쪽도 동화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호 존중과 신뢰가 그 바탕이 돼야 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화이부동의 관점에 서면 두 나라가 가져야 할 자세가 분명해진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