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消滅, 사라져 없어짐). 수년 전부터 지방자치단체들에서 많이 언급되는 단어다. 울산도 예외일 수 없는데 인구감소 현상이 빨라지면서 머지않은 장래에 울산도 지역소멸이라는 늪에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다. 지역소멸은 인구감소가 근본 원인이다. 지자체들이 벼랑 끝에 몰린 절체절명의 심정으로 해답 찾기에 나서고는 있지만 변죽만 울릴뿐 확실한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소멸위기에 접어든 지역의 현실을 살펴보고 매력과 활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주

 

#폐교도 사택 감소도 결국은 쓰임이 사라진 탓

 1926년 개교한 옛 온산초교는 지난 1993년 폐교됐다. 온산공단이 확장되면서 학교가 공단 한가운데 위치하게 됐기 때문인데 울산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최근까지 폐교한 학교가 30곳(울산시교육청  자료, 분교 포함)에 이른다.

 온산초는 동문들의 노력 등에 힘입어 10년만에 복교(復校)했지만 한때는 소멸한 이름이었다.

 지난 1991년 마지막 졸업식을 한 춘도초등학교를 시작으로 두서초등 이천분교 등 울주군과 북구 등 울산 도심 외곽에 위치한 학교들이 그 역할을 다하고 사라졌다. 비교적 도심에 위치한 남구 S초등학교의 경우 최근에는 2학급을 꾸리기도 빠듯해지면서 소멸의 길로 접어 든 것이 아니냐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67년 조성된 한국석유공업 야음동 사택을 시작으로 한때 울산의 주거문화를 선도했던 수천채의 기업체 사택도 이제는 찾기 쉽지 않은 이름이 되고 있다. 

 폐교든 사택이든 소멸된 이유는 인구 감소 등으로 그 쓰임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공업축제’라는 명칭이 공해를 연상시킨다는 지적 때문에 1989년 ‘시민대축제’로 1991년에는 ‘처용문화제’로 또다시 이름을 바꿔 단 울산의 대표축제는 32년만인 올해 울산공업축제라는 이름으로 소멸의 시간에서 부활했다. 

 

#인구소멸 안심·무관지역 울산 구군 한 곳도 없어

 지난해 11월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K-지방소멸지수를 적용하면, 울산 동구는 소멸위기 지역 중 ‘소멸 우려’에 해당됐다. 소멸위기지역은 소멸 우려, 소멸 위험으로 나뉜다.

 소멸위험지역은 20~39세 가임기 여성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곳을 말한다. 0.5 이상 0.75 미만은 소멸우려지역이다. 

 동구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안정된 일자리의 영향으로 견실한 인구구조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됐으나 2016년부터 시작된 조선업 위기가 역내 산업 전반에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인구 유출과 지역경제 침체에 직면한 것에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실제 울산 동구의 2018~2020년 인구감소율은 2.60%로 전국 평균 0.013% 증가와 큰 차이를 보였다. 동구의 위기를 울산의 위기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나 울산 중구(0.977)는 소멸선제대응지역(0.75~1.0 미만), 북구(1.022), 울주군(1.123), 남구(1.132)는 소멸예방지역(1.0~1.25 미만)에 포함, 인구 자연감소 등을 고려할 때 울산 전체의 인구 감소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2016년 12월말 열린 울주군 상북면 향산초등학교의 마지막 졸업식. 후배들이 졸업생들의 발을 씻겨주고 있다. 향산초는 이듬해 상북초로 통합됐다.
지난 2016년 12월말 열린 울주군 상북면 향산초등학교의 마지막 졸업식. 후배들이 졸업생들의 발을 씻겨주고 있다. 향산초는 이듬해 상북초로 통합됐다.

 

#청년층 유출 가속화로 소멸시계 빨라져

 지방소멸의 주요 원인은 출생아 수 감소에 의한 인구감소가 꼽히고 있다. 또 수도권으로의 청년층 유출이 이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2015년 117만3,534명이던 울산 인구는 정점을 찍은뒤 8년 동안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데 빠르면 올해말 110만명대 붕괴도 예상되고 있다.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유발한 ‘탈울산’에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더 많은 자연감소 폭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은 지난해 연간단위로는 처음으로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아 인구가 자연감소(-1,000명)하는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나타났다.

 인구 순감소를 일컫는 ‘탈울산’은 지난 5월을 기준으로 90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울산에서 다른 시, 도로 전출간 인구가 전입해온 인구보다 9,536명이 더 많았는데 20세에서 34세 청년 인구는 4,536명이 더 빠져 나갔다.

 지난 1년 동안 ‘탈울산’ 인구의 절반 가량을 청년층이 차지하면서 청년 인구 유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울산의 고령화 정도와 속도도 심각한 수준에 이른다. 2025년 울산의 15세에서 64세까지 생산연령인구는 76만5,000여명, 울산 전체 (추계)인구 108만5,017명의 70.5%이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중은 18%, 청년인구 비중은 17.3%로 역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지역경제가 활력을 잃으면서 청년들은 더 빠져 나가고 인구 구조는 더 나빠지는 악순환이 이어질 우려가 크다.

 이처럼 청년들이 없다 보니 아이들도 없다.인구 천 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지난해말 기준 4.9명으로 광역시 출범 원년인 1997년 18.3명의 26.8% 수준이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 역시 1997년 1.794명에서 지난해 0.850명으로 반토막이 난 상태다.

 출생건수도 1997년 1만8,273명에서 지난해 5,400명으로 연간 출생건 수 5,000건 붕괴도 다다른 모양새다. 

 

#인구 구조 변화 계량화한 인구맵, 인구정책 방점

 이 같은 상황에 울산시는 울산의 인구 구조 변화를 계량화한 인구맵을 통해 인구 대책을 수립에 나서고 있다. 울산 맞춤형 인구 정책 추진에 활용하기 위한 것인데 정주 인구뿐만 아니라 지역에 체류하는 사람도 포함하는 새로운 인구 개념인 생활인구를 도입해 인구 문제 해결에 방점을 찍는다는 것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부산·창원·포항 등 인접 지자체가 울산과 유사한 인구 구조를 보이고 있는 만큼 여성들이 선호하는 산업을 육성하고 문화 인프라를 혁신하면 주변 지역의 여성 청년을 울산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며 "용역에서 제시된 결과물을 인구 정책에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강태아 기자 kt25@iusm.co.kr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