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인구 유출 방지와 도시경쟁력 및 일자리 지속성 확보를 위해서는 숙련기술교육과 기술사업화로 돌파하자는 제언이 나왔다.

자동화 고위험 일자리의 비중이 울산 전체 산업의 절반을 넘고 있는 점을 감안해 기술혁신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최소화하고 기술혁신을 활용한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하는 Two-Track 대응전략 마련 필요하다는 것이다.

울산연구원 울산공공투자센터 박남기 박사는 8일 울산 경제사회 브리프를 통해 AI 기술혁신이 일자리를 위협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브리프에서 동남지방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동남권 청년인구 현황 및 이동에 따르면 청년인구의 전출 사유로 2020년 현재 직업(일자리)63.6%로 가장 높다. 10대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직업에 의한 전출이 지난 8년간(2013~2020)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울산도 일자리 창출 또는 유지(고도화)2016년 이후 지속해서 나타나는 인구 유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도시경쟁력 쇠퇴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는 설명이다.

울산은 자동화 고위험 일자리(10~20년 이내에 기계에 의해 대체될 확률이 70% 이상인 직업군)의 비중이 전체 산업의 52.8%로 추정된다.

박 박사는 이에 따라 기술혁신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최소화하고 기술혁신을 활용한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하는 이원화(Two-Track) 대응 전략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박사는 자동화 고위험 취약 근로자의 일자리 지속 방안으로 기존 제조업과 연계해 일자리 지속 관련 숙련기술 수요분야를 발굴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 및 폴리텍대학 등과 연계해 재직자 숙련기술 교육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고용 안전망 강화, 지역 노사정 소통 창구 마련 등을 통해 자동화 대체 위험에 취약한 노동자 집단의 사회적 불평등 및 갈등 방안 모색을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역 중소기업과 지역대학·혁신기관의 컨소시엄 기술 개발과 기술 이전을 통해 기존 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도모하고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함으로써 신규 일자리 창출 방안도 모색할 것을 주문했다.

일례로 UNIST(울산과학기술원) 는 개교 이후 10년 동안 연구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된 산업에서는 기업 수가 30% 증가했으며 새로운 일자리는 21,835개가 창출된 것으로 추산됐다.

박 박사는 수도권에 집중된 IT(정보통신기술)·SW(소프트웨어) 우수 강소기업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을 울산을 포함한 비수도권 지자체의 중소기업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 건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강태아 기자 kt25@iusm.co.kr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