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중립이 세계적인 현안이 되고 있다. 한국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국무회의와 G20 정상회의에서 기후대응을 위한 한국의 탄소중립 전환이 필수임을 강조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시가 2050 탄소중립 도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탄소 에너지 생산 등의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부산연구원(원장 송교욱)은 26일 이와 같은 내용의 BDI 정책포커스 ‘2050 탄소중립 도시 전환을 위한 부산의 대응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탄소 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광역시 중 인천, 울산, 서울 다음인 네 번째로 탄소 배출이 많다. 전 세계 주요 항만도시와 비교해도 부산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다.

세계적, 국가적인 탄소 감축 추세에 맞춰 부산도 탄소중립 이행이 필수가 되고 있다. 무탄소 에너지 생산, 탄소 격리, 녹색 인프라 및 정책 등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부산의 대응과제가 필요한 이유다.

보고서를 작성한 남호석 연구위원은“탄소중립을 위해 부산에 적용 가능한 재생에너지원 발굴을 확대해야 한다”며“부산 신재생에너지 시장잠재량은 태양광 및 풍력이 유력하므로 그에 맞는 전력생산에 집중하기 위한 신산업 투자 및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차세대 신에너지인 수소 에너지의 공급처 다양화를 위해 항만과 공항을 이용하는 다양한 수송 관련 수소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부산 맞춤형 탄소 격리 전략도 제시했다. 그는“부산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및 가축 분뇨 등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과 활용은 탄소 감축과 신산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도시 산림 조성 및 보존은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므로 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며“도시 숲 및 공원 조성을 통해 나무의 성장을 통한 탄소 격리 효과와 함께 열섬현상 방지로 에너지 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에너지 절감을 통해 정산을 받는 탄소포인트제를 부산형 시스템으로 구축해 부산지역 탄소 집약 산업군의 탄소 감축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석유 기반의 선박, 트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에 대해 환경부담금 명목의 탄소세 적용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며“탄소세로 늘어난 세수가 시민 등의 복지와 탄소 감축 관련 기술, 인프라에 환원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 / 김성대 기자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