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젊은층 유출과 지역경제 쇠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공론화되고 있다. 울산시와 울산발전연구원이 주최한 메가시티 미래에 대한 심포지엄에서 나온 이야기다. 이 자리에서 이용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기획단장은 수도권 인구 집중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메가시티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 공유대학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초광역형 공유대학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제도화해서 학위를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균형발전위가 ‘대학’ 문제에 대한 지원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힌 셈이다. 양질의 대학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20대 청년 인구 유출 문제를 고질적으로 겪고 있는 울산으로선 굉장히 의미 있는 발언으로 들린다. 
울산의 경우 젊은 층의 감소추세가 예사롭지 않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교육기관의 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울산의 대학 수는 종합대학교 2곳을 포함해 모두 5곳이다. 부산 25곳, 경남 23곳과 크게 비교된다. 종합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울산과기원 밖에 없어 다양한 학과 개설도 쉽지 않다. 울산의 경우 지역 내 대학 입학정원은 5,800명에 불과하다. 그러다 보니 울산지역 고등학생들은 서울, 대구, 부산 등 전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다. 울산지역 고교졸업생 중 대학 진학생은 1만1,000명가량이지만 3,500명만 지역 내 대학으로 진학하고 나머지 7,000명 이상은 타 지역 대학으로 진학한 실정이다. 결국 이 같은 청년인구의 유출은 지역의 미래경쟁력 약화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대학유치를 요구하는 시민의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현재 육성 중인 신성장 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까지 대학 유치를 통해 직접 양성·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울산시는 이 문제와 관련해 인력수요에 부합하는 학과 중심으로 다수 대학의 공동캠퍼스 설치 검토와 유치대상 대학에 대한 접촉을 시도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도 벌여온 것이 사실이다. 현실적으로 대학의 신설이나 정원증원은 교육부의 결단이 필요한 사안이다. 문제는 그동안 대학 유치가 거의 전무했던 울산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5개의 대학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울산의 수험생들이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의 문은 그리 넓지 않다. 다양한 학과와 고등교육 시스템이 울산의 미래를 위한 기본 장치라는 사실을 명심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