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업의 대부분이 부산시 공공데이터 활용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의 공공데이터 홍보 부족이 이유로 꼽혔다 부산 공공기관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도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가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연구원(원장 송교욱)은 13일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부산형 데이터 댐 기반 데이터 산업 육성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연구원이 최근 부산지역 기업 107개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산업 활성화 설문조사에서 부산시 공공데이터 활용 경험에 대해 86.9%가 ‘없다’고 응답했다. ‘있다’는 업체는 13.1%에 불과했다. 부산시 공공데이터포털에 대해 ‘모른다’는 비율이 57.9%였다.
업체들은 부산시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서비스 체계 홍보’(57.0%)를 가장 우선으로 꼽았다.
보고서를 작성한 배수현 부산연구원 연구위원은 “홍보 부족으로 공공데이터 활용도가 낮다”며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공데이터 활용 경험이 있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주로 활용하는 분야를 물은 결과 ‘단순히 참고자료로 활용’(35.7%)이 가장 높았다. 데이터 활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 없이 데이터만 공개하는 방식의 한계로 지적됐다.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데이터 생산과 공개에 대한 관심 부족도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부산연구원이 부산지역 공공기관 54개를 대상으로 한 활용 가능 데이터 자산 실태조사 결과 75.9%가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지만 연간 50종 미만이 대부분(75.5%)이었다. 공공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 보유가 10종 미만인 기관이 67.9%나 됐다. 민간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도 10종 미만인 기관이 69.8%나 됐다. 배 연구위원은 “부산 공공기관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가 부족하며 그만큼 공공기관의 데이터 산업에 대한 관심이 낮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지적했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공개 계획에 대해서는 50.0%가 없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다수’(40.7%)가 가장 많았다. 공공기관의 데이터 공개 및 활용에 대한 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데이터를 각 분야에 보내기 위한 저장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부산형 데이터 댐 사업 추진 시 적절한 분야에 대해서는 ‘교통물류’(20.8%)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문화관광’(15.1%), ‘공공행정’(13.2%), ‘보건의료’(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배 연구위원은 “부산에 데이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공공 데이터포털의 홍보 등 데이터 플랫폼 활용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함께 부산의 특화된 데이터 수집을 통한 부산형 데이터 댐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 / 김성대 기자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